콘텐츠로 건너뛰기

뤼튼 후기: 한국형 AI의 장단점 총정리

  • 기준

내 이름은 구구, 비둘기죠. 바야흐로 대 AI시대… GPT 외에도 다양한 AI서비스가 생기고 있는 가운데, 한국의 AI 기업 업스테이지가 개발한 ‘뤼튼’을 사용해본 후기를 정리했음. 뤼튼의 다양한 기능과 성능에 대해 살펴보고, 장단점을 분석함.

뤼튼 사용 계기

유튜브 광고를 통해 뤼튼을 알게 됨. ChatGPT에서 유료로만 제공하는 이미지 생성 기능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주요 관심사였음. 매일 루틴하게 이미지를 생성해야 하는 상황에서 PC보다 모바일에서의 접근성이 좋아 보여 사용을 결정함.

한국어 특화 성능

뤼튼은 한국형 AI 서비스답게 뛰어난 한국어 검색 능력을 보여줌. 한국어권 사이트에서 우선적으로 검색하며, 검색 속도도 매우 빠른 편임. 이는 한국 사용자들에게 큰 장점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임.

이미지 생성 기능의 한계

이미지 생성 기술은 초기 DALL-E 수준의 부정확성을 보임. 사용자 요청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고, 부적절한 키워드라며 요청을 거부하는 경우도 빈번했음. 악용 사례 방지를 위한 조치로 보이나, 이로 인해 서비스 품질이 저하되는 느낌임.

유용한 기능들

뤼튼은 여러 기능을 제공하는 탭이 존재함. 망망대해에 버려진 느낌보다 어떤 방향성을 제시해준다는 게 AI 초심자에게 좋을 것 같음. (아마 탭마다 적절한 프롬프트를 미리 넣어두지 않았을까?)

캐릭터챗

가볍게 즐기기 좋은 기능으로, 다양한 캐릭터와의 대화를 통해 재미를 얻을 수 있음. 스트레스 해소나 짧은 오락거리로 활용하기에 적합함.

실시간 검색

네이버 포털의 실시간 인기검색어 기능 중단으로 인한 공백을 메울 수 있는 대안으로 기대되었으나, 실제 사용 결과 아쉬운 점이 많았음. 현재 트렌드를 빠르게 파악하는 데는 도움이 될 수 있으나, 심도 있는 분석은 어려웠음.

실제 사용 경험:

  • 대안 고민: 단순히 실시간 검색어 순위만 보는 것이 더 효율적일 수 있다는 의문이 들 정도로 기능의 실효성에 의문이 듦
  • 정확성 문제: 병에 담긴 인스턴트 커피를 조사해달라고 했을 때 스틱커피 정보를 제공하는 등 오류가 있었음. 일반 AI처럼 맥락을 파악하는 능력이 없어서 정정해주지도 못함.
  • 신뢰성 낮은 정보 출처: 나무위키와 같은 비공식적인 소스를 정보 출처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었음
  • 제한적인 유용성: 시간 여유가 없는 사용자가 실시간 이슈를 빠르게 파악하고자 할 때 어느 정도 도움이 될 수 있으나, 정확성이 떨어져 신뢰하기 어려움

키워드 리포트

개인화된 뉴스레터를 만들 수 있는 기능으로, 관심사에 맞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음. 시간 절약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됨. 팩트체크 능력에 대한 궁금증이 있음. 커뮤니티 게시물의 편향성과 잘못된 정보를 잘 필터링한다면 매우 유용할 것으로 보임.

현재는 특정 관심사가 없어 구독할 주제 선정에 어려움이 있음. 몇 가지 프리셋이 제공된다면 사용자 편의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됨.

종합 평가

뤼튼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결국 보조 툴로서의 역할에 그치는 느낌임. 한국어 처리와 관련된 부분에서는 강점을 보이나, 이미지 생성과 같은 특정 영역에서는 개선이 필요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유용성이 달라질 것으로 보이며, 특히 텍스트 기반 작업이나 한국어 관련 태스크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됨.

이미지 생성 기능의 무료 제공은 매력적이나, 실제 성능은 기대에 미치지 못함. 키워드 리포트 기능은 잠재력이 있으나, 팩트체크 능력과 사용자 맞춤 추천 시스템의 개선이 필요해 보임.

실시간 검색 기능은 아이디어는 좋으나 실제 구현과 정확성 면에서 개선이 필요해 보임. 빠른 정보 파악이라는 장점이 있지만, 제공되는 정보의 질과 신뢰성 문제로 인해 사용자들의 실질적인 만족도는 낮을 수 있음. 향후 업데이트를 통해 정보의 정확성과 신뢰성이 개선된다면 더욱 유용한 기능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