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이름은 구구, 비둘기죠.
서울시 청년월세지원 자격이 되어 신청했고 서류심사 통과했음.
소득 조건이 같은데 서류에서 떨어진 사람도 있는 것을 봐서 주의점에 대해 작성해보려 함.
2024년 1기 기준으로 작성했으며 이후의 사례에서는 내용이 바뀔 수도 있는 점 참고 바람. 자세한 내용은 서울주거포털 사이트 참고.
참고로 나는 청년주택 민간임대 거주자임.
1. 청년월세지원 신청서 작성
일단 신청서의 신청인/임대차계약 정보를 잘 채워야 함. 내가 자격요건이 되는지도 잘 알아보자. 자격요건이 안 되는데 신청하면 시간낭비임.
2. 서류 제출
서류를 잘 내자. 월세이체증, 표준임대차계약서, 가족관계증명서를 잘 첨부해야 함. 모든 서류에 주민번호 뒷자리는 가려야 함.
- 월세이체증: 은행 사이트에서 발급할 수 있음.
- 임대차계약서: 확정일자가 날인되어있어야 함. 나는 이곳에 오래 살아서 계약을 갱신했는데, 갱신계약서에 확정일자가 날인되지 않아 조금 고생했음. 아래에서 설명하겠음.
- 가족관계증명서: 이전에 뽑아둔 걸 그대로 올리면 안 됐던 것 같음. 새로 뽑자. 그리고 주민번호는 가려야 함.
정부24가 아닌 법원사이트에서 발급한다는 점 알아둘 것!
3. 기타 서류
갱신된 계약서를 들고 관리사무소에 찾아갔더니, 임대인이 주택 임대차계약 신고필증을 발급할 때 확정일자가 자동으로 나왔다고 해서 그 서류를 받아옴. 이걸 같이 제출하면 임대차계약서에는 확정일자가 날인되지 않아도 됨.
내가 지원한 4구간은 경쟁률이 10대 1 정도임. 일단 서류가 통과되면 그 뒤는 전산추첨이기 때문에 기도하는 수밖에 없음. 확률이 높지는 않지만 그래도 서류 통과되면 밑져야 본전이니 꼼꼼하게 제출해서 기회라도 얻어보자.
요약
서울시 청년월세지원 신청 시 주의사항:
- 신청서와 임대차계약 정보 정확히 작성.
- 월세이체증, 표준임대차계약서, 가족관계증명서 제출 시 주민번호 뒷자리 가리기.
- 갱신된 계약서의 확정일자 확인 및 필요한 추가 서류 제출.
경쟁률이 높으니 철저히 준비해서 서류 통과 기회를 얻자.